전체 글
-
IT의 이해 - 리눅스 서버 운영의 이야기 - DNS의 구조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7. 6. 18:00
IT의 이해 - 리눅스 서버 운영의 이야기 - DNS의 구조 IP주소 또는 도메인네임은 인터넷 상에서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것들이다. DNS는 크게 다 용과 같이 3가지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도메인네임 공간(Domain Name Space) 및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 네임서버(Name Server) · 리졸버(Resolver) 도메인네임 공간(Domain Name Space)은 흔히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메인네임의 계 층적 구조공간을 의미한다. www. .kernel.org는 이 도메인네임 공간에 속한 하나의 노드 즉, 호스트네임을 지칭한다. 도메인네임 공간의 분배와 도메인네임의 할당은 전 세계적으로 도 메인네임 할당 기관을 통해 체계적으로 할당, 관리되고 있다. ..
-
리눅스 서버 운영 - 도메인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7. 5. 09:06
도메인이란? 도메인(Domain)이란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구별하는 방법으로써 일반적으 로 IP주소(204.152.191.5)와 같은 숫자를 사용하여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알아보 기 쉬운 숫자와 문자 조합으로 구성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예: lug.or.kr, kernel.org등) 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자신이 거주하는 주소지를 가지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편지를 보내 면 받을 사람의 주소를 적고 이름을 적는다. 우편을 배달하는 사랑은 편지에 적혀있는 주소 지를 찾고, 이름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편지를 전달한다. 네트워크상에서도 이와 마찬가 지로 주소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IP번호라는 것을 각각의 컴퓨터에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애번 특정 서버 컴퓨터의 I..
-
리눅스 배포판의 역사와 배포판의 종류 #2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7. 3. 18:00
맨드레이크 리눅스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1998년에 맨드레이크(Mandrake) 리눅스(맨드리바)가 등장하였다. 맨드레이크 리눅스는 1998년 프랑스의 게리 듀발(Gael Duval)에 의해 시작되었다. 게리 듀발은 누구나 쉽게 사 용할 수 있는 리눅스를 만들기 위해 레드햇 리눅스를 기반으로 데스크톱 환경을 강화한 몇 가지 특징과 KDE 그래픽 환경을 통합해 1998년 7월 첫 번째 버전 5.1을 릴리즈했다. 맨드레이크 리눅스는 인터넷에 공개되자마자 리눅스 사용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듀발은 그해 11월에 프레데릭 바스토크, 자크르 마로와 함께 공동으로 맨드레이크 소프트웨어사를 설립하고 지속적인 버전업과 개발을 통해 많은 마니아층을 형성했다. 맨드레이크 리눅스는 화려한 그래픽 환경과 사용자 친화..
-
리눅스 배포판의 역사와 배포판의 종류 #1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7. 2. 18:00
MCC Interim 리눅스 배포판 1991년 최초로 리눅스 커널이 공개된 이후 최초로 배포판이 배포되기 시작한 것은 1992년부터 이며, 영국의 맨체스터 대학의 맨체스터 컴퓨팅 센터(Manchester Computing Center)에서 만든 MCC Interim 리눅스 배포판이었다. 이것은 리눅스 커널과 그외 프로그램을 포함한 것으로 초기버전 이후 6~7장의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X원도우가 포함되지 않은 작은 미니 배포판이었다. 하지만 설치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SLS 리눅스 배포판 MCC Interim 리눅스 다음으로 Soft landing Software 라는 회사에서 SLS(Softlanding Linux System) 리눅스 배포판을 발표하였으며, 플로피로 설치할..
-
GNU 정신(GNU is not UNIX)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7. 1. 18:00
GNU란 "GNU is not UNIX"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자유소프트웨어 재단을 거점으로 소스 공 개(Open Source) 정책을 보다 폭넓게 전파시키기 위한 정신이다. GPL라이선스를 만들어 누구나 원하는 사람이라면 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리차드 스톨만은 GNU 정신에 부합시키려면 오늘날의 리눅스를 "GNU 리눅스"라고 불러야 옳다고 주장한다. GNU 정신은 공짜가 아니라 자유로운 프로그램 배포를 의미한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GNU 정신에 공감하고 GNU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GNU 정신에 공감하는 프로그래머는 자신이 개발한 프로그램의 자유로운 배포를 승인한다. 또한 대부분 소스를 공개하고 있다. 이때 우리는 프로그램에 대한 "자유로운 배포"를 오해해서는 안된다. 자유로운 ..
-
리눅스의 특징(장점 및 단점)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6. 30. 18:00
*리눅스의 장점(Advantages)을 알아본다. -호환성(Compatibility) 리눅스의 보급이 다른 OS보다 빨랐던 이유 중 하나가 '호환성이 높다'라는 점이다. 당시 유닉스는 중대형 컴퓨터용 OS로 대학이나 기업, 연구기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유닉스의 뛰어난 성능에 비해 가격 측면에서 개인이 이용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리눅스는 개인적인 용도로 거의 무료로 PC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리눅스의 인기비결 중 하나이다.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리눅스는 유닉스라고 할 수 있다. 유닉스용 프로그램은 별도의 수정 없이 리눅스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이것은 유닉스의 성능과 역사가 리눅스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개성(Publicity) 리눅스의 공개성 ..
-
리눅스 시작과 발전IT(Information Technology) 2023. 6. 29. 17:59
리눅스(Linux)의 시작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는 처음 어떻게 시작되었고 누가 만들게 되었을까? 우리가 알고있는 리눅스는 컴퓨터 운영체제중 하나이다. 리눅스는 핀란드의 헬싱키대학 학생이였던 '리누즈 토발즈(Linus E Torvalds)'가 처음 만든 운영체제에 대한 이름이다. 여러사람이 다중 작업의 처리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이며 기존 유닉스를 벤치마킹하였다. 그래서 리눅스는 유닉스의 아류작이라는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리눅스는 독립적으로 개발되어서 유닉스 계열로는 분류하지는 않는다. 리눅스에 시작에 있어서 시대적 배경을 먼저 생각해본다면 1990년 개인용 컴퓨터 운영체제인 MS-DOS는 유닉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한개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유닉스를 컴퓨터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많았던 시기이다. 마이크..